콘텐츠 이용 습관마저 바꾼 LTE
국내 롱텀에벌루션(LTE) 서비스 가입자 수가 내달 초 20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. 전체 이동통
신 가입자의 40% 이상이 LTE를 쓰면서, 콘텐cm 산업에서 LTE 인프라에 기반한 `LTEconomy(LTE
경제)`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.
KT는 지난 19일 자사 LTE 가입자가 500만명을 넘어섰다고 20일 밝혔다.
이달 초 LTE가입자 500만명을 넘어선 LG유플러스와, 부동의 1위인 SK텔레콤 가입자까지 합쳐 현
재 약 1950만명이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.
◇저장 대신 스트리밍
싸이의 `강남스타일`과 빅뱅 `몬스터`, 소녀시대 `더 보이즈` 등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
감상한 동영상 콘텐츠다. 하지만 이들 뮤직비디오의 파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.
대부분 `유튜브`를 비롯한 동영상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해 감상하기 때문이다.
LTE 네트워크가 확산되면서 콘텐츠를 저장하는 대신 실시간 스트리밍을 이용한 서비스가 이젠 대세
가 됐다. 빠른 전송 속도 덕분에 저장해 놓은 콘텐츠를 감상하는 것과 차이가 거의 없어졌기 때문이
다. 시장조사업체 닐슨에 따르면 우리나라 이용자의 동영상 내려받기 이용률은 19%로, 주요국 중
가장 낮은 수준이다.
동영상뿐만 아니라 음원이나 만화·게임 등, 휴대폰에서 소비하는 모든 콘텐츠가 대부분 스트리밍
을 이용해 제공한다. 통신업계 관계자는 “불과 2~3년 전에만 해도 흔했던 `컴퓨터에서 내려받은
콘텐츠를 스마트폰으로 옮겨 이동하며 감상하는` 풍경은 점점 찾아보기 어려울 것”이라고 말했
다.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에서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유튜브나 멜론(음원) 등은 모두 스트리밍
기반 서비스다.
◇모바일 콘텐츠, C2C 급증
최근 사명을 나우콤에서 자사 대표 서비스명으로 바꾼 아프리카TV에는 24시간 끊이지 않고 라이브
방송이 진행된다. 하루 평균 동시 개설 방송 수만 5000개에 이른다. 이 중 모바일로 촬영해 실시간
으로 중계하는 콘텐츠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. 모바일 앱을 통해 터치 한 번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
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방송할 수 있다.
LTE를 기반으로 C2C(개인 대 개인) 모바일 콘텐츠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. 스마트폰을 이용해 누
구나 쉽게 영상 콘텐츠를 촬영할 수 있는데다, 이를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 하는 것도 편리해졌
다. 초고속인터넷 확산을 바탕으로 확산됐던 이용자 제작 콘텐츠(UCC)가 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제
작되고 이용이 이뤄지는 것이다.
차현나 KT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은 “사업자가 아닌 개인들도 자유롭게 콘텐츠를 제작·판매하면 판
매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없는 `C2C 오픈마켓`이 생겨날 것”이라며 “1인 예술가·창업자가 늘어나
고 비정형화된 관련 직업도 등장할 것”이라고 전망했다. 기존 기업이 아닌 소비자가 직접 만든 콘
텐츠가 유료화돼 거래되는 날도 머지 않았다는 분석이다. 이를 위한 저작권·세금 등 관련 제도 개
선도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.
신 가입자의 40% 이상이 LTE를 쓰면서, 콘텐cm 산업에서 LTE 인프라에 기반한 `LTEconomy(LTE
경제)`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.
KT는 지난 19일 자사 LTE 가입자가 500만명을 넘어섰다고 20일 밝혔다.
이달 초 LTE가입자 500만명을 넘어선 LG유플러스와, 부동의 1위인 SK텔레콤 가입자까지 합쳐 현
재 약 1950만명이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.
◇저장 대신 스트리밍
싸이의 `강남스타일`과 빅뱅 `몬스터`, 소녀시대 `더 보이즈` 등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
감상한 동영상 콘텐츠다. 하지만 이들 뮤직비디오의 파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.
대부분 `유튜브`를 비롯한 동영상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해 감상하기 때문이다.
LTE 네트워크가 확산되면서 콘텐츠를 저장하는 대신 실시간 스트리밍을 이용한 서비스가 이젠 대세
가 됐다. 빠른 전송 속도 덕분에 저장해 놓은 콘텐츠를 감상하는 것과 차이가 거의 없어졌기 때문이
다. 시장조사업체 닐슨에 따르면 우리나라 이용자의 동영상 내려받기 이용률은 19%로, 주요국 중
가장 낮은 수준이다.
동영상뿐만 아니라 음원이나 만화·게임 등, 휴대폰에서 소비하는 모든 콘텐츠가 대부분 스트리밍
을 이용해 제공한다. 통신업계 관계자는 “불과 2~3년 전에만 해도 흔했던 `컴퓨터에서 내려받은
콘텐츠를 스마트폰으로 옮겨 이동하며 감상하는` 풍경은 점점 찾아보기 어려울 것”이라고 말했
다.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에서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유튜브나 멜론(음원) 등은 모두 스트리밍
기반 서비스다.
◇모바일 콘텐츠, C2C 급증
최근 사명을 나우콤에서 자사 대표 서비스명으로 바꾼 아프리카TV에는 24시간 끊이지 않고 라이브
방송이 진행된다. 하루 평균 동시 개설 방송 수만 5000개에 이른다. 이 중 모바일로 촬영해 실시간
으로 중계하는 콘텐츠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. 모바일 앱을 통해 터치 한 번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
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방송할 수 있다.
LTE를 기반으로 C2C(개인 대 개인) 모바일 콘텐츠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. 스마트폰을 이용해 누
구나 쉽게 영상 콘텐츠를 촬영할 수 있는데다, 이를 서비스 플랫폼에 업로드 하는 것도 편리해졌
다. 초고속인터넷 확산을 바탕으로 확산됐던 이용자 제작 콘텐츠(UCC)가 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제
작되고 이용이 이뤄지는 것이다.
차현나 KT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은 “사업자가 아닌 개인들도 자유롭게 콘텐츠를 제작·판매하면 판
매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없는 `C2C 오픈마켓`이 생겨날 것”이라며 “1인 예술가·창업자가 늘어나
고 비정형화된 관련 직업도 등장할 것”이라고 전망했다. 기존 기업이 아닌 소비자가 직접 만든 콘
텐츠가 유료화돼 거래되는 날도 머지 않았다는 분석이다. 이를 위한 저작권·세금 등 관련 제도 개
선도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.
출처http://etview.etnews.com//telecom/2739224_4351.html?mc=e_003_00001
'Issue > Program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동영상] 코딩을 배워야 하는 이유 (0) | 2016.04.19 |
---|---|
IT기사 보는 싸이트 (0) | 2013.03.20 |